출처 : pxhere

들어가며

세계적으로 기후위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탄소 배출을 줄이려는 움직임이 보입니다. 지구에서 발생하는 탄소의 30%가 자동차를 운행하는 과정에서 나옵니다. 내연기관차를 퇴출하지 않고 탄소 제로 사회는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EU,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내연기관차를 완전히 퇴출하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내연기간차가 전기차로 대체된다면, 거기에 들어가는 2차 전지 배터리 시장은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입니다. 거기에서 K-배터리 기업들이 경쟁력을 갖추며 성장할 것입니다.
전기차 선호도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전기차 구매 시 가장 큰 고려 사항은 '주행거리'와 '충전기'였습니다. 주행거리는 1회  충전 시 얼마나 주행가능한지, 즉 양극재에 대한 부분입니다. 양극재 산업이 중요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그다음으로 전기차 충전은 음극재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 음극재 산업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기업이 바로 나노신소재입니다. 오늘은 나노신소재의 기술과 주가 흐름에 대해 이야기를 풀어보겠습니다. 
나노신소재에 관심이 있는 투자자라면 공식사이트에 들어가 보시기 바랍니다. 나노신소재의 사업 전반적인 내용과 재무정보 등 많은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고, 투자에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http://www.anapro.com/kr/

ANP 나노신소재

첨단 나노소재산업의 글로벌 리더, 나노신소재(ANP)

www.anapro.com

 

나노신소재는?

나노신소재는 2000년에 설립된 회사로 2011년 2월에 코스닥에 상장되었습니다. 성장하는 전기차 시장에서 충전에 매우 중요한 기술인 음극재 기술에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전기차의 수요가 많아지면 전기차 충전에 대한 필요성도 점차 커질 것이고, 나노신소재의 음극재 기술이 더욱 부각될 것입니다.
나노신소재는 원재료인 금속 또는 비금속을 구입하여 초미립 나노분말로 합성하고 이를 다시 고체형태나 여러 형태의 액상으로 제품화할 수 있는 기술력을 확보했습니다. 이런 기술력을 바탕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시장 및 태양전지 시장, 반도체 CMP공정에 투입되는 소재 제조, 이차전지 전극에 적용되는 CNT도전재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나노신소재 시가총액은 1조, 5,514억 원이고, 코스닥 27위입니다.)

나노신소재 매출 정보에서 이차전지 소재 분야에서 이차전지 도전재 CNT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0년~2023년 이차전지 소재 매출비율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나노신소재의 음극재 기술력

충전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 음극재 안에 실리콘의 함량을 높이는 기술이 필요합니다. 음극재 제조 시에 흑연을 실리콘으로 대체하면, 충전 속도가 50 %, 에너지밀도는 25% 개선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 이유로 실리콘 음극재 기술이 중요한 배터리 기술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이 실리콘 음극재 기술에서 나노신소재의 CNT 도전재 기술이 각광받고 있습니다. 
나노신소재의 CNT 도전재 기술은 덴트라이트 현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음극재에 실리콘 함량을 높이면 충전속도가 빨라지고 에너지 밀도가 높아집니다. 그러나 높아진 실리콘 함량으로 덴트라이트 현상이 발생됩니다. 덴트라이트 현상은 배터리 충전 과정에서 음극 표면에 쌓이는 나뭇가지 모양의 결정체입니다.
덴트라이트 현상이 생기면 리튬이 음극과 양극을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고, 배터리 성능이 저하되어 분리막이 훼손되고 화재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즉, 배터리 수명과 안정성에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것이 CNT(탄소나노튜브)이며, 나노신소재는 이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나노신소재의 CNT 기술력

CNT 도전재는 두 가지 형태가 있습니다. 두 가지는 멀티월 CNT와 싱글월 CNT 기술이며, 멀티월 CNT 기술보다 싱글월 CNT 기술이 훨씬 어렵고 가격도 20배에 달합니다. 양극재에 주로 쓰이는 멀티월 CNT 분야에는 나노신소재 외에도 LG화학 등 많은 기업이 있습니다.
그러나 싱글월 CNT 기술은 나노신소재가 독점 생산하고 있습니다. 또한 실리콘 음극재는 앞으로 이차전지와 관련되어 발전할 신기술입니다. 싱글월 CNT 기술을 독점적으로 보유한 나노신소재는 앞으로 더욱 주목받을 것입니다.

나노신소재 최근 뉴스(공시)

1. 나노신소재의 공매도 수량이 14일 5만 5961 주에서 17일 3만 6829 주로 줄었습니다. 
2. 나노신소재는 지난해 실적 개선에 성공했으며, 테슬라의 건식 전극 공정 확대의 수혜를 얻을 것이라는 기대감으로 주가가 상승했습니다. 건식 전극 공정에 필요한 고체 도전재 기술을 보유한 나노신소재의 영향력이 커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고체 도전재 기술은 세계적으로도 매우 뛰어난 기술입니다.
3.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등 실리콘 음극재 제품을 늘리고 있으며, 음극재 성능 향상에 필수적인 탄소나노튜브 기술이 중요하다고 여겨집니다. 나노신소재의 탄소나노튜브 기술력은 최고 수준으로 앞으로 실리콘 음극재 확대로 인한 수혜를 입을 것이며, 음극재 관련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낼 것입니다.
4. 나노신소재는 5.9억 규모 자사주를 처분하기로 결정했습니다. 5억 9천만 원 규모입니다. 7월 24일부터 8월 24일까지 처분 예정입니다. 처분 목적은 임직원 특별상여금 지급입니다.(좋은 주가 흐름에 어떤 영향을 줄지..)
5. 테슬라의 건식 전극공정 확대 수혜 기대감으로 주가가 긍정적 영향을 받은 것으로 예상됩니다.

주가흐름을 살펴보겠습니다.

출처 : 영웅문 어플

나노신소재는 2023. 7. 24. 전일 대비 17.68 % 상승한 172,400 원에 장마감하였습니다. 2023. 4. 10. 전고점 193,700 원을 찍고 조정을 받으며 하락추세를 보여주더니, 오늘은 급등을 보여주며 하락 추세의 끝을 기대하게 했습니다. 그리고 한 번의 급등을 이끌어내며 상승추세의 신호탄을 쐈습니다. 이제는 상승추세로 여기며 접근하려고 합니다.
일전에 탄탄한 지지선 아래 상승 추세로의 전환을 기대해 볼 만하다고 언급하였습니다.

앞으로 2~3일 간 상승을 이어나가며 새로운 지지선을 위쪽으로 쌓아간다면, 상승추세로의 전환을 대비하며 조금씩 비중을 늘리려고 합니다.
발끝에서 산다면 좋겠습니다만, 바닥인 줄 알고 비중을 늘렸는데 바닥은 더 아래 있는 것을 암울한 상황을 겪을지도 모릅니다. 그렇기 때문에 발끝이 아니라, 상승추세를 확인하며 무릎에서 산다는 태도로 접근하려고 합니다. 

상승추세가 시작된다면 본인은 다음과 같은 시나리오로 대응할 것입니다.

  1. 상승추세가 전고점을 뚫어내며 고점을 갱신한다. 이는 명확한 상승추세이며 당장 매도시기를 늦추며 상승추세의 끝을 살필 것입니다.
  2. 상승추세는 이어가지만 전고점을 뚫지 못한다. 상승추세를 이어간다면 거래량과 지지선을 면밀히 살피며, 지지선 위에서 조정을 받을 때 조심스럽게 비중을 늘릴 것입니다.
  3. 상승추세가 일찍 끝나면서 조정이 바로 시작되고, 하락하며 지지선을 뚫고 하락추세를 보여준다. 저는 하락추세로 전환되거나, 하락추세인 기업은 관심이 없습니다. 뒤도 돌아보지 않고 인사를 건넬 것입니다.

나노신소재는 하락추세에서 횡보했고 반등할 시기를 기대하는 것이 매우 이르다고 판단했습니다. 하락추세로 전환되고, 하락의 끝을 섣불리 예상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지금 상승추세의 전환인지를 판단해야 하는 때(기회일 수도 있는)를 지나, 상승추세의 국면을 보여줍니다. 면밀히 지켜보며 조심스럽게 비중을 늘리는 자세로 접근하려고 합니다.

 

본인은 하락추세가 끝나기를 기대하며 들어가는 것보다는, 하락추세가 끝나고 상승추세로 전환되는 확실한 지점에서 들어가는 것이 좋다고 판단합니다. 최저점에서 잡겠다는 욕심으로 하락추세의 끝을 기대하는 것은 매우 위헙합니다. 하락추세가 언제 끝날지는 아무도 모르기 때문이지요. 그보다는 +5 % ~ 10 % 놓치더라도, 확실한 상승추세를 확인하고 들어가는 것이 좋겠습니다. 주식투자 경험이 쌓여가며 얻은 교훈은 리스크를 줄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발끝이 아니라 무릎에서 산다는 마인드입니다.

출처 : 영웅문 어플

위에 1번처럼 상승추세 전환의 신호를 보여주며 상승을 이어가면, 분할매수로 접근하여 비중을 늘릴 계획입니다. 오늘 11 % 오른 것에 배 아파할 것이 아니라, 앞으로의 시나리오를 그려가며 대응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만약 2번처럼 급등 이후 하락이 이어지며 지지선이 버텨주지 못한다면, 이를 상승추세 전환으로 보기 매우 어렵습니다. 그렇다면 조심스럽고 신중하게 살펴보며 대응하려고 합니다. 바닥을 무리하게 예상하며 상승할 것이라는 기대로 매수의 태도를 취하지 않습니다.
(지지선을 120,000 원 대로 보고 있습니다. 이 지지선을 뚫고 내려간다면 하락이 끝나는 신호를 다시 살펴야 합니다.)

결론

배터리 산업의 성장으로 양극재 산업의 성장 또한 기대되고 있습니다. 음극재와 비교했을 때, 중요한 것은 양극재임이 분명합니다. 전기차에 필수적인 핵심 소재이기 때문입니다. 나노신소재에 투자를 고민하고 계신 분이 많이 있을 것입니다. 전기차에서 충전 또한 매우 중요한 기술이고, 그 충전과 관련된 음극재 산업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기업이 나노신소재이기 때문입니다. 
양극재가 우선입니다만, 음극재 산업 또한 전망이 좋기에 나노신소재 투자에 대해 고민해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나노신소재는 2025년~2026년까지 주머니에 넣고 안 꺼낼 생각으로, 전기차 산업의 성장과 함께 묵묵히 들고 계실 분이라면 조금씩 모아가도 좋습니다. 현재 주가 기준으로 +5% 또는 -5% 에 목숨걸 필요가 없습니다. 그러나 단기 수익을 목표로 트레이딩을 계획하고 있다면, 지금은 쉬어가며 주가 흐름을 면밀히 살펴야 할 때입니다. 각자 투자 성향에 따라 신중하고 후회 없는 투자를 하시기 바랍니다. 
본인은 차트, 주가 흐름 등보다는 산업 전망과 기업의 기술력을 기준으로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오늘 풀어낸 나노신소재 이야기는 제가 공부한 내용을 공유한 것입니다. 참고만 하시고 투자에 도움만 얻어가시길 바랍니다. 투자에 책임은 본인에게 있기에, 후회 없는 선택을 하시고 경제적 자유를 누리시기 바랍니다. 

+ Recent posts